국제수지는 거래의 내용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경상수지는 상품이나 용역을 사고 파는 일상적인 대외거래의 결과 벌어들인 외화와 지급한 외화의 차이를 말하며 이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로 구성된다.

상품수지란 상품을 수출해서 벌어들인 외화와 상품을 수입하는 데 지출한 외화의 차이를 나타낸다. 다만 국제수지표를 작성할 때에는 단순히 세관을 통과한 물건을 수출입으로 보는 것(통관기준)이 아니라 소유권이 이전되어야(소유권이전 기준) 수출입으로 본다.
서비스수지는 다른 나라와의 서비스거래에서 벌어들인 외화와 지급한 외화와의 차이를 말한다. 즉 우리나라의 배나 비행기가 물건을 나르고 다른 나라로부터 받은 운임, 외국관광객이 쓰고 간 여행경비 등이 서비스수입이 되며 반대로 우리나라가 외국에 지급한 운임, 보험료, 해외여행경비 등은 모두 서비스지급으로 나타난다.
소득수지는 우리 근로자가 해외에서 일하거나 국내자본을 해외에 투자하여 벌어들인 외화와 국내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에게 임금으로 지급하거나 외국자본에 대해 이자나 배당금으로 지급한 외화와의 차이를 나타낸다.

경상이전수지란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에 무상으로 주고 받은 외화의 차액을 말한다. 거주자가 무상으로 외화를 받는 경우는 해외교포로부터의 송금, 다른 나라의 종교기관이나 자선단체로부터의 기부금, 다른 나라 정부로부터의 무상원조 등이며 비거주자에게 무상으로 외화를 보내는 경우는 해외교포에 대한 개인송금, 저개발국가에 대한 무상원조 등이다.
한편 경상수지가 계속 흑자를 기록하는 나라는 해외에서 벌어들인 외화가 해외에 지급한 외화보다 많으므로 보유하는 외화가 점점 늘어나 외국에 돈을 빌려줄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경상수지가 계속 적자인 나라는 벌어들인 외화보다 지급해야 할 외화가 많기 때문에 보유하는 외화가 점점 줄어들거나 부족한 만큼을 메꾸기 위해서는 외국으로부터 빚(외채)을 얻어와야 할 것이다.

경상수지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경상거래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 비하여 자본수지는 외국으로부터 빚을 얻어오거나 외국에 돈을 빌려주는 등 외국과의 자본거래 결과 들어온 외화와 나간 외화의 차이를 말한다.
이와같은 자본수지는 자본거래의 성격에 따라 직접투자, 증권투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투자수지와 해외이주자금, 특허권 및 저작권의 매매 등을 대상으로 하는 기타자본수지로 구분한다.
자본거래에 의하여 외화가 국내로 들어오는 경우는 외국빚을 얻어오거나 외국에 빌려주었던 돈을 돌려 받을 때, 해외에서 증권을 발행하여 자본을 들여오는 때 등이다. 반대로 얻어온 빚을 갚거나 돈을 빌려주는 경우 등에는 외화가 해외로 나가게 된다. 자본거래의 결과 국내로 들어온 외화가 해외로 나간 외화보다 많을 경우 자본수지는 흑자로 나타나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적자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