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1. 조사 · 연구
  2. 간행물
  3. 주제별 검색
  4. 경제일반

[제2018-39호]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주제 : 경제일반 저자 : 박상준, 김남주, 장근호
연구조정실(02-759-5481) 2018.12.05 18067

제목 :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저자 : 박상준(와세다대), 김남주(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장근호(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요약>


본 논문은 OECD 30개국의 2000-2017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20대 초반과 후반 청년실업률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한국의 청년실업률이 일본에 비해 높은 이유를 규명하는 한편, 일본의 청년실업 대책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전체 실업률, 각 연령대의 인구비중, GDP 성장률, 임금근로자 비중, 고령화율, 파트타임근로자 비중 등이 청년실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 청년인구 비 중의 감소는 청년실업 해소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임금근로자 비중에서 일본에 비해 불리한 환경이었으며, 일본에 비해 부족한 대기업 일자리,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과도한 임금 격차도 한국의 청년실업이 높은 이유를 설명하는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문제의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한편, 일본의 정책사례 등을 참고하여 단기적인 청년일자리 미스매치(mismatch) 문제를 해결하는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determining factors in the unemployment rate among young people in their 20s by studying data from 30 OECD member countries between 2000 and 2017. Also, it identifies reasons why Korea has a higher youth unemployment rate than Japan, and assesses what implications Japan’s youth unemployment measures could have on Korea. The study highlights the variables that have meaningful impacts on youth unemployment. They include the unemployment rate among the working-age population, the percentage of each age bracket in the overall population, the GDP growth rate, the percentage of wage laborers in each age group,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and the percentage of part-time workers. This paper also finds that a decline in the youth population, especially among people in their 20s, does not help to address the issue of youth unemployment.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additional factors behind Korea’s higher youth unemployment rates. One is Korea’s disadvantageous employment environment, compared to that in Japan, in terms of wage earning. Other factors include the existence of fewer decent corporate jobs than in Japan, and wide disparities in wages between large and small corporate jobs. Therefore, while making efforts to resolve long-term and structur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policy measures to solve short-term mismatch problems of youth employment by referring to Japanese policy examples.

콘텐츠 만족도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