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통화금융, 실물경제 및 지급결제 등 여러 부문에 걸쳐 정부의 경제정책,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 일반국민의 조사·연구 활동 등에 긴요하게 활용되는 통계를 작성·공표하고 있다.
한국은행 작성 경제통계
부 문 | 작성 통계 | 주요 지표 |
---|---|---|
국민계정1) |
국민소득 |
경제성장률, 국민소득, 총투자율, 경제주체별 저축률 및 처분가능소득, 노동소득분배율 등 |
산업연관표 |
투입계수, 생산·수입유발계수, 취업·고용유발 계수 등 |
|
자금순환표 |
금융거래표, 금융 자산 및 부채 잔액표 등 |
|
국제수지표 |
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등 |
|
국제투자대조표(IIP) |
거주자 대외 금융 자산·부채, 지역별·통화별 IIP |
|
대외 채권 및 채무 |
부문별·기간별 대외 채권 및 채무 |
|
국민대차대조표2) |
국민순자산, 경제주체별 및 자산별 스톡 등 |
|
통화금융 |
통화금융통계 |
통화량(M1, M2), 유동성(Lf, L) |
가계신용(가계대출, 판매신용) |
||
산업별 대출금(업종별 대출 잔액) |
||
광역시도별 예금 및 대출 잔액 |
||
예금 및 대출 종별 금리(가중평균금리) |
||
은행, 비은행의 자금조달 및 운용현황 |
||
가계부문 미시통계 |
가계금융·복지조사3) |
가계의 자산·부채·소득·지출 규모 및 분포 등, 소득분배지표 파악 |
물가 |
생산자물가(PPI) |
생산자물가지수, 국내공급물가지수, 총산출물가지수 |
수출입물가(EPI, IPI) |
수출입물가지수,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지수 |
|
기업통계 |
기업경영분석 |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현금흐름지표 등 |
경제심리 |
기업경기조사(BSI) |
기업가의 현재 경기수준, 향후 경제전망 등 |
소비자동향조사(CSI) |
가계 소비지출전망, 향후 경기전망, 기대인플레이션 등 |
|
경제심리지수(ESI) |
CSI와 BSI의 합성지수 |
|
금융안정 |
금융기관대출행태조사 |
대출태도, 신용위험, 대출수요 등 |
지급결제 |
지급결제통계 |
지급카드, 어음·수표, 계좌이체 등 지급수단별 결제규모 |
기타 |
전국민금융이해력조사4) |
OECD기준에 따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수준 측정 |
- 주 : 1) 5대 국민경제통계 : 국민소득, 산업연관표, 자금순환표, 국제수지표, 국민대차대조표
- 2) 한국은행, 통계청 공동 작성
- 3) 한국은행, 통계청, 금융감독원 공동 작성
- 4)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공동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