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적 경기변동모형으로 본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등록일
1999.11.18
조회수
4177
키워드
실물적경기변동모형 무역경기변동 소규모개방경제 생산성충격 해외충격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07)

제목: 실물적 경기변동모형으로 본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저자: 박형수

 

<요 약>

 

최근 선진국에서 實物的景氣變動理論에 의한 경기변동연구가 활발하며 우
리나라의 경우에도 동 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몇 차례 있었으나 閉鎖經濟를 가
정하거나 世界經濟模型을 이용하는 등 우리나라의 경제현실을 반영하는데 뚜렷
한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경제를 開放經濟로 모형화하면서 國內消
費및 投資의 일정비율을 외국재화로 충당하도록 하는 한편, 국내재화에 대한
외국의 수요가 외국경제여건에 따라 결정되는 점을 고려하여 輸出을 외생변수
로 보았다. 그 밖에 소규모 개방경제의 가정을 채택하여 交易條件및 國際金利
가 외생적으로 결정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동 모형은 貿易景氣變動을
포함한 우리나라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들을 잘 복제해낼 수 있었다. 모형의
敏感度分析에 따르면 輸入資本財에 의한 투자의 비중이 높아지면 국내경기변동
이 심화되는 반면 소비지출의 해외의존도는 국내경기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景氣變動을 분석할 때에는 자본재수입
추이 등 무역구조상의 변화에 보다 많은 관심이 요망된다. 또한 衝擊反應分析에
서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생산성충격이 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
으로는 교역조건충격, 수출충격, 국제금리충격의 순서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
타났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