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15-12호] 인플레이션 동학과 통화정책

등록일
2015.04.28
조회수
8663
키워드
우리나라 대상 대응 지속성 CPI인플레이션 실증적 통화정책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349)

제목 : 인플레이션 동학과 통화정책
저자 : 우준명(금융통화연구실)

 


<요약>

 

인플레이션 지속성은 미래 인플레이션 예측과 거시경제 안정화를 위한 비용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앙은행의 주요 관심사항 중 하나이다. 인플레이션 지속성이 크다면 인플레이션에 충격이 발생한 후 균형 또는 목표수준으로 회귀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중앙은행이 물가안정 정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물부문의 손실이 커질 수 있다. 최근의 이론연구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책 대응이 인플레이션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CPI 인플레이션의 지속성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통화정책의 대응과 인플레이션 지속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우선 국면전환 ADF 모형, 국면전환 시변 파라미터 모형 등 다양한 형태의 모형을 이용하여 인플레이션 지속성을 추정해본 결과, 인플레이션 지속성은 70년대말∼80년대 초, 90년대 초반 및 외환위기 등의 기간에 높았으나 외환위기 이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플레이션 지속성과 통화정책 기조가 각각 독립적으로 국면전환하는 모형과 국면전환을 고려한 구조모형 등을 통해 살펴본 결과,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 지속성이 낮아진 2000년대 이후 인플레이션에 대해 과거보다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물가안정 목표제의 도입 및 성공적인 정착과 인플레이션 지속성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통화정책적 대응이 인플레이션 지속성에 대한 영향을 미쳐 거시경제 안정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 studies show that a monetary policy stance is an immediate determinant of inflation persistence. This paper shows how inflation persistence has changed over time and whether monetary policy s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of determining inflation persistence.
First, we estimate how inflation persistence has changed over time by us ing various models, including regime - switching ADF models and time-varying-parameter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inflation for the period from the late 70s to the early 80s and during the foreign currency crisis in the late 90s has been relatively high with the persistence coefficient close to 1.
In addition, the monetary policy stance represented by a Taylor-type policy rule has been more aggressive against inflation since 2000 when both inflation and its persistence were low and stable. Also, inflation persistence rather rises with macroeconomics instability under passive monetary policy. Therefore, the monetary policy stance on inflation appear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lowering inflation persistence and achieving macroeconomic stability.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