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스프레드와 통화정책

등록일
1997.12.30
조회수
5216
키워드
金利스프레드 通貨政策 實物經濟活動 인플레이션 情報變數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07)

제목: 금리스프레드와 통화정책

저자: 오정근

 

<요 약>

 

금융혁신과 금융자유화의 진전에 따라 통화정책의 중간목표로 널리 이용
되어 오던 통화총량과 소득 및 물가와의 관계가 불안정해지면서 통화정책
수립시에 情報變數를 보완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정보변수접근법이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정보변수로는 속보성과 객관성 면에서 다른 변수
보다 우수한 長短期金利스프레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결과 선진국에
서는 金利스프레드의 미래 실물경제활동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력은
물론 통화정책의 金利스프레드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하다는 사실이 입증되
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金利스프레드의 통화정책 情報變數로서의 유용성을 실증분
석해 본 결과 「3년만기 회사채수익률 - 1일물 콜금리」의 스프레드는 미
래의 실물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에 대해 유의한 예측력이 없었으나 「5년
만기 국민주택채권수익률 - 1년만기 금융채수익률」과 「5년만기 국민주택
채권수익률 - 1년만기 통안증권수익률」의 스프레드는 예측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정책도 부분적으로 金利스프레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ⅰ)金利스프레드를 이용한 미래의 실물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결과를 통화정책수립시에 반영하거나 (ⅱ)
金利스프레드의 조절을 통하여 통화정책이 미래의 실물경제활동과 인플레
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등 金利스프레드를 통화정책
의 정보변수로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 金利스프레드의 통화정책 정보변수로서의 유용성을 높
이기 위해서는 개선해야할 점들이 적지 않다. 우선 시장참가자들이 신뢰하
고 거래에 활발하게 참가할 만한 장단기 금융상품들과 이 상품들의 가격이
경쟁적 시장기능에 의해 결정되어질 수 있는 효율적인 금융시장이 존재하
여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유통시장의 활성화, 만기구조의 다양화, 수요기
반의 확충 등, 국공채시장을 비롯한 각종 장단기 금융시장의 육성을 통하
여 금리의 기간구조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