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입-산출 물가지수에 의한 제조업의 수익성의 추이분석

등록일
1999.11.18
조회수
4325
키워드
투입-산출물가지수 수익성지표 제조업 기여도분석 경제구조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07)

제목: 투입-산출 물가지수에 의한 제조업의 수익성의 추이분석

저자: 최기홍

 

<요 약>

 

수익성은 본래 금액에 바탕을 두는 지표이지만 수량측면을 감안하기 위해서는 速報性의
犧牲이 불가피해진다. 따라서 매월 발표되는 물가지수, 임금지수, 금리지수 등 가격측면
만으로 산업의 收益性동향을 迅速하고 簡明하게 볼 수 있는 지표를 開發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수익성의 지표를 산출물가지수와 투입물가지수간 비율로 정의하였다. 산출물가지
수는 생산자물가지수와 수출물가지수를 산업연관표 배분구조를 가중치로 하는 기하평균
물가지수이며, 투입물가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 수입물가지수, 금리지수, 임금지수를 각각
산업연관표 투입구조를 가중치로 하는 기하평균 물가지수이다. 먼저, 본고는 투입-산출
물가지수에 의하여 정의된 수익성지표의 논리적 기초를 찾고자 하였다. 첫째, 산업의 생
산함수가 固定投入係數형태이면 투입물가지수는 평균생산비용지수(ACt/AC 0)가 되며,
둘째, 해외 및 국내 시장간에 판매물량비율이 일정할 경우 산출물가지수는 평균판매수입
의 지수( ARt/AR 0)가 됨을 보일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들이 충족될 경우 산출물
가지수와 투입물가지수의 비율은 판매수입과 생산비용의 비율, 즉 수익성의 지수로 해석
이 가능하다. 다음은 투입-산출물가지수에 의한 수익성지표의 현실적 타당성을 보기 위
하여 95년 1월부터 99년 3월까지 51개월간 우리나라 製造業수익성지수를 작성하여 연간
주기 기업경영분석 의 매출액경상이익율과 비교해 보았다. 비용 및 수입 항목에 대한
포괄범위의 차이가 크고 비교시점이 적어 충분한 증거가 되지는 못하지만 작성된 수익성
지표는 매출액경상이익율과 변동의 크기 및 방향에 있어 비교적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 수익성지표에 대한 개별 가격지수들의 기여도를 산정하
고 기여도들 간의 상대적 규모를 비교하여 1998년 하반기부터 최근 수익성에 가장 큰 영
향을 주었던 요인들을 찾아 보았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