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국의 금융모형
저자: 김치호, 김희식
<요 약>
이 논문에서는 資産選擇理論을 근간으로 하는 자금순환 금융모형을 원용
하여 시장중심의 金融需給行態와 통화정책 효과를 분석하는 금융모형을 설
계?추정하고 추정모형에 의거 콜금리, 환율, LIBOR, 株價등 외생변수 변동
을 상정하는 政策模擬實驗을 실시하였다.
각 행태식의 추정과 정책모의실험에서 얻은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제주체
별 자금조달과 운용에 있어서 각 금융자산 수익률(금리)이 경제주체들의 포
트폴리오 조정을 주도하는 가운데 금융자산의 수급조정과 금리결정이 이루
어지고 있으며, 콜금리, 환율, 주가 변동 등 외생적 충격에 따른 자금수급과
시장금리, 총수요(GDP) 및 물가(GDP 디플레이터) 등의 반응 정도도 대부분
기대에 부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금융시장 행태분석과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서 金利를 중심으로 하는 市場的接近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
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콜금리를 통한 통화정책 파급효과가 뚜렷하여 통화정
책의 運用目標로서 콜금리의 유용성이 인정되는 데다 회사채시장이 대출시
장 등 여타 금융시장에서의 자금수급과 금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
어 국채시장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전까지는 콜금리와 회사채 유통수익률
을 中心指標로 하는 金利重視通貨政策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모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주식시장과 외환시장과의 직접
적인 경로를 도입하여 금융-자본-외환시장간의 連繫性을 높임으로써 개방경
제하의 금융시장 및 통화정책 효과분석을 중시하는 한편 경제주체별 자금조
달과 운용을 세분화하고 자금조달과 운용간의 恒等關係, 금융자산간 상호 對
稱性조건 등을 모형에 반영하여 좀더 資産選擇理論에 충실한 금융시장 행
태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