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2008.7월 이후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의 경우 물가상승률이 하락세로 돌아서고 일부 기관들의 향후 인플레이션 전망치가 마이너스대로 발표되면서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대두
― 일반적으로 디플레이션은 장기경기침체로 인식되어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불안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올해 경제가 당초 예상보다 더 악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에서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을 제기
― 연평균 기준으로 볼 때 1966년 이후 마이너스 물가상승률(소비자물가기준)을 보인 예는 한 차례도 없었음
― 그러나 앞으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예상보다 깊고 장기적으로 진행될 경우 일부품목을 중심으로 물가상승이 급속히 둔화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움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IMF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과 계량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을 시산·평가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음
□ 우리나라에서의 디플레이션 발생 위험정도를 분석한 결과 2008년말 현재 그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음
― IMF 취약성 지수 기준으로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은 가장 낮은 단계인 ‘극히 낮음’으로 평가
― 장래인플레이션 확률분포에 근거해서 판단해 본 경우에도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디플레이션 리스크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디플레이션 리스크는 과거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
― 품목별 가격변화 분포특징을 기준으로 평가해 보았을 때도 가격인하 쏠림현상(왜도)이 역사적으로 경험했던 최저수준에 다다르더라도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금년중 인플레이션 발생에 대한 상․하방 위험 확률을 모두 고려해 보면 아직까지는 상방위험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됨
― 디플레이션이 본격화되려면 경제주체들의 기대인플레이션 또한 마이너스로 바뀌어야 하는데 실증분석결과를 보면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임
―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디플레이션 때문에 경기가 더욱 나빠질 수 있다”라는 이론적 관계를 뒷받침할만한 실증분석 결과는 찾아낼 수 없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