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21-12호] 우리 수출의 글로벌 소득탄력성 하락 요인 분석

등록일
2021.08.18
조회수
8019
키워드
수출 소득탄력성 국제생산구조 글로벌 최종수요구조 재화
등록자
김경근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362)

제목 : 우리 수출의 글로벌 소득탄력성 하락 요인 분석
저자 : 김경근(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요약>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재화 수출의 글로벌 소득에 대한 탄력성이 하락한 원인을 분석한다. 2000년~2019년 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우리 재화 수출의 소득탄력성 변동 요인을 분해한 결과, 국제생산구조 변화와 글로벌 최종수요구조 변화 모두 소득탄력성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국제생산구조 변화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생산구조 변화는 미국, 중국 등 주요국에서 교역유발 효과가 낮은 서비스 중간투입 비중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기술구조가 변화하는 가운데 중국에서 중간투입재 국산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된 데 주로 기인하였다. 또한 글로벌 최종수요구조 변화는 글로벌 서비스 수요 증가, 최종재에 대한 수입대체를 통해 우리 재화 수출의 소득탄력성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흥국 경제 비중 증가에 따른 부정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에도 글로벌 경제의 서비스 비중 상승,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축소 등에 따른 자국 생산 제품으로의 수요 대체는 우리나라 재화 수출의 소득 탄력성을 낮춤으로써 글로벌 경기 회복 시에도 우리나라 수출 확대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하겠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uses of decline in the elasticity of Korea’s goods exports  with  respect  to  global  income  in  the  post  global  financial  crisis.  Using international input-output tables from the years 2000 to 2019, I show that both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production structure and the change in the global final demand structure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income elasticity, with the effect of the former relatively larger. The effect of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production structure on the income elasticity was driven by the steady localization of intermediate inputs in China, while the technological structure i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hanged  in  higher  input  share  of  services  which  are  low trade-inducing.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global final demand structure was found to lower the income elasticity through increased service demand and substitution for imported goods. However, there were no negative effects from the increased share of emerging economies in global final demand. In the future, continuing expansion of service sectors in global economy and the localization of production to reduce global supply chain risks are likely to constrain the expansion of Korea’s exports even during a global economic recovery.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