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시장압력과 국외부문 통화공급 변동의 관계 분석(금융경제연구 제353호)

등록일
2008.11.25
조회수
6066
키워드
외환시장압력 국외부문 통화공급 환율 VAR모형 충격반응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17)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전체 유동성에서 중요성이 높아진 국외부문을 통한 통화공급의 변동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설명변수로서 기존 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외환시장압력지수의 유용성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Weymark(1997) 모형에 환율전가율을 고려한 소규모 개방거시모형을 바탕으로 외환시장압력을 추정한 후, 축약형 VAR과 Markov-Switching VAR 모형을 이용하여 국외부문 통화공급이 외환시장압력 충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환시장압력의 해소과정에서 외환위기 이후 환율 변동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충격반응 분석결과, 국외부문을 통한 통화공급은 외환시장압력 상승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시장에서 절하압력이 커질 때 경상수지 개선효과와 자본수지 악화효과가 교차하는데 대체로 후자의 영향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국외부문 통화공급은 환율보다 외환시장압력 충격에 보다 지속적으로 반응하였다. 특히 외환시장 관련 변수들의 변동성이 커질 때 국외부문 통화공급 변동은 환율보다 외환시장압력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움직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국외부문 통화공급 변동의 분석에 있어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을 폭넓게 반영하는 외환시장압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내외 충격으로 인해 외환시장의 변동성이커질 때 외환시장압력은 향후 국외부문 통화공급 변동에 대한 정보를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국외부문을 통한 통화공급의 증가와 변동요인   2

1. 국외부문 통화공급의 증가

2. 국외부문 통화공급의 변동요인

Ⅲ. 외환시장압력(Exchange Market Pressure) 지수  8

1. 외환시장압력의 정의

2. 외환시장압력의 추정

Ⅳ. 외환시장압력과 국외부문 통화공급 변동의 관계 분석  14

1. 분석방법 및 자료

2. 축약형 VAR모형을 이용한 충격반응 분석결과

3. Markov-Switching VAR 분석결과

Ⅴ. 결론  24

참고문헌  25

[부록 1] 외환시장압력 도출과정 28

[부록 2] 환율전가율, 통화수요함수 및 통화공급함수의 관계 30

[부록 3] 외환시장압력 추정방법 및 추정결과 32

[부록 4] MSVAR 모형요약 및 추정결과 35

[부록 5] 국내신용증가율과 내외금리차의 외환시장압력 충격에 대한 단기반응

            : Tanner(2001)의 방법론 원용 36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