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와 재무구조 정보를 이용한 기업부문 신용리스크 측정(금융경제연구 제391호)
저자: 이승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업부문 신용리스크지표로는 인식하지 못하였
던 공통요인에 기인하는 체계적 리스크를 포함하여 기업부문 신용리스
크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기업 주가와 재무구조 정
보를 이용하여 개별 기업의 부도확률과 기업 간 상관관계를 추정함으로
써 체계적 리스크까지 측정한다.
거래소 및 코스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
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체계적 리스크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여기에는 글로벌 경기침체, 국
제금융시장 불안 등 외생적 공통요인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둘
째, 기업부도율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부문 평균리스크지수
는 실제 어음부도율과 4∼12개월 시차를 두고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
를 나타내어 선행지표로서 유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셋째, 기업 부도확
률이 낮을수록 그리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자산 상관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Basel Ⅱ 내부신용등급방식의 자산 상관계수 산정 방식과 유사
한 결과를 보였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을 비교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대기업 부실 등으로 개별
기업 신용리스크가 급격히 상승했던 외환위기 당시에는 기업구조조정
등의 미시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체계적 리스크
가 상대적으로 더 컸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는 외환시장 안정화
조치, 실물경기 안정화 조치 등의 거시적 정책 대응이 상대적으로 중요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Ⅰ. 서 론
Ⅱ. 기업부문 신용리스크의 의의와 측정 과정
1. 기업부문 신용리스크의 의의
2. 기업부도율 확률분포와 신용리스크
3. 기업부문 신용리스크의 측정 절차
Ⅲ. 구조모형을 이용한 부도확률 측정
1. 부도확률 결정요인
2. 부도확률 측정을 위한 구조모형
3. 새로운 자산가치 및 자산변동성 추정 방법
Ⅳ. 기업부문 신용리스크 측정
1. 자산 상관관계의 추정
2. 기업부문 신용리스크의 분석해
Ⅴ. 실증분석
1. 분석자료
2. 기업부문 신용리스크 측정 및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A. 기존의 자산가치 및 자산변동성 추정 방법
B. Basel II의 자산 상관계수 산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