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투자 유출입이 경기동조화에 미치는 영향(금융경제연구 제392호)
저자: 황광명
금번의 글로벌 금융위기 전개과정에서 선진국의 경기침체가 여타국가
로 빠르게 전파됨에 따라 국가간 경기동조화 경로에 대한 관심이 커졌
다. 본 연구는 개별국가 충격이 다른 나라로 전파되는 경로중에서 양국
간 직접투자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와 주요 27개국 GDP갭률의 추세를 비교해 본
결과 외환위기 이후 국내외 경기의 동조적 움직임이 보다 뚜렷해진 것
으로 나타났다. 경기동조화에 있어 직접투자 경로를 중시한 Jensen and
Stokman(2004)의 모형에 일인당 GDP 격차, 상대 CPI 및 환율 등 통제
변수와 국가별 시간별 고정효과를 추가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의 경우 경기동조화에 있어 직접투자 경로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투자 유출과 유입을 나누어 본 결과 양자 모두 우리나라와 상대국
과의 경기동조화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배경을 살펴보기 위
해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접투자 유출입은 양국간 무역, 특히 산업
내무역 비중을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경기동조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런데 수출과 수입으로 나누어 보면 수출증가는 경기동조화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수입은 유의성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 유출이 전반적으로 수직형 직접투자(vertical
FDI) 성격이 강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직접투자 유출입 규모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나
경제규모와 비교해 보았을 때 아직 주요국의 평균수준에 크게 못 미치
고 있어 앞으로도 꾸준히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앞으로 직접투
자 경로를 통한 국내외 경기변동의 동조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므로
해외충격의 영향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
Ⅲ. 경기동조화, 직접투자 및 무역구조 추이
1. 경기동조화
2. 직접투자 유출입
3. 수출입 및 산업내무역
Ⅳ. 분석모델 및 실증분석 결과
1. 직접투자와 경기동조화
2. 직접투자와 무역 및 산업내무역
3. 무역경로와 경기동조화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추정결과의 강건성 검정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