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기변동모형에 의한 경기침체 요인분석(금융경제연구 제406호)
저자: 송승주
2009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일부 국가의 경기가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금번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가
종전보다 장기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향후 경기변동패턴이 과거
와는 얼마나 다르게 전개될 것인지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1970년
이후 경제위기를 포함한 크고 작은 경제적 충격 등으로 아홉 차례의 경기
순환을 겪어 온 우리로서는 제1,2차 석유파동, 삼저현상 소멸 후 1988∼89
년 상반기중 경기둔화, 1997년말 외환위기 및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다섯 차례에 걸쳐 경기침체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거 주요 경기침체에 주목하여 그 특징을 분석
한 후 각 경기침체의 변동패턴과 부문간 동조성 존재여부를 각각 점검하
였다. 그리고 경기변동의 공급측 요인에 주목한 Cole and Ohanian (1999)
과 Kehoe and Prescott (2007) 등의 실물경기변동(Real Business Cycle;
RBC)모형을 통해 우리나라의 주요 경기침체 현상을 총요소생산성(TFP)
충격으로도 설명 가능한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환위기를 제외하고는 여타 경기침체기의 국내총생산(GDP)과
민간소비에 있어 위축과 느린 회복의 변동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리고 경기침체 기간에는 생산과 고용, 소비 및 투자 등이 동반 위축
되는 부문간 동조성도 나타났다. 또한 1970년대 이후 경험한 네 차례의 경
기침체를 총요소생산성 충격이 어느 정도 유의하게 설명함으로써 실물경
기변동모형으로도 우리나라의 주요 경기침체 현상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 머리말
II. 경기침체의 특징
III. 모형의 구조와 해
1. 변수 정의
2. 생산기술과 총요소생산성(TFP)
3. 소비자 선호체계
4. 모형의 해
5. 계산방법
IV. 분석결과
1. 모수설정
2. 총요소생산성 추정
3. 모의실험 결과
V.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균형성장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