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지배구조의 모색(금융경제연구 제412호)

등록일
2009.12.22
조회수
7035
키워드
기업혁신역량 기업지배구조 혁신전략 대리인이론 역량론
담당부서
연구조정실(미시경제연구실(02-759-5429))
첨부파일
저자: 장지상, 이근기

기술변화가 급속히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기업 경쟁력 확보와 관련하
여 혁신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혁신역량과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기업의 혁신전략이
경영환경에 따라 달라지므로,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바람직한 기업지배
구조의 모습도 기업이 처한 경영환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경영환경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기업의 경우에는 최
적 혁신전략이 기업내 자원의 ‘재결합(recombination)’이 되어 다양성이
낮은 기업지배구조가 바람직한 반면, 경영환경이 급변할 경우에는 최적
혁신전략이 기업외부로부터 새로운 자원의 도입을 통한 ‘신결합(novel
combination)’이 되어 다양성이 높은 기업지배구조가 적합하다는 가설
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동 가설이 타당함을 밝혔다.
이와 같은 본 논문의 결과는 다양성이 낮은 기업지배구조가 대리인문
제와 조정비용을 경감시켜 혁신역량의 창출에 적합하다고 주장하는 기
존의 대리인 이론에 입각한 견해나, 거래비용에 대한 고려 없이 다양성
이 높은 기업지배구조가 항상 혁신역량의 창출에 유리하다고 주장하는
역량론적 관점의 가설이 모두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Ⅰ. 서론

Ⅱ. 혁신역량과 기업지배구조 : 가설의 설정
1. 기업의 혁신역량과 다양성
2. 기업지배구조와 혁신역량

Ⅲ. 실증 분석
1. 회귀모형 및 변수의 측정
2.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 문헌>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