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경제의 금리기간구조 분석(금융경제연구 제430호)

등록일
2010.05.04
조회수
8604
키워드
금리기간구조 개방경제 스왑레이트 거시경제변수 수익률 곡선
담당부서
연구조정실(국제경제연구실(02-759-5375))
첨부파일

저자 : 박하일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금리기간구조(수익률 곡선)가 국내 거시경제변수 이외에 해외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론적 방법인 선형 금리기간구조 모형(Affine Term Structure Model)에 국내 거시경제변수인 생산갭과 한·미간 인플레이션 차이 등을 반영하는 스왑레이트를 추가하여 기존의 미관측 3요인 모형의 성과와 비교하였다. 추정 결과 표본내 기간의 모형 적합도는 생산갭이나 스왑레이트를 각각 추가하는 4요인 모형 및 두 변수를 모두 추가하는 5요인 모형의 성과가 우수하였으며, 표본외 기간의 예측력에서도 만기가 2년 이내인 단기·중기금리의 미래 금리 예측력은 5요인 모형의 성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금리기간구조는 실물경기를 나타내는 생산갭 이외에 개방경제의 특성으로 인해 스왑레이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외환스왑시장과 채권시장간의 연계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차  례

I. 서론 1
II. 기존 연구  2
III. 금리기간구조와 거시경제변수 5
   1. 수익률 곡선과 국내 거시경제변수  5
   2. 스왑레이트와 한·미간 거시경제변수 차이   7
IV. 금리기간구조 모형의 추정 및 예측 11
   1. 모형의 설정 및 추정  11
   2. 모형의 적합도 및 예측력 검정 16
   3. 미관측 요인과 거시경제변수의 관계 18
V. 요약 및 결론 23

<참고 문헌> 25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