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상호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의 진전으로 금융자산선택에 있어 경제주체의 위험기피성향 상승 가능성이 있음을 이론모형에 명시적으로 고려한 후, 고령화와 위험자산 수요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위험기피도 증대가 금융자산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와는 달리 연령 증가에 따라 위험기피 성향이 커지는 RRA (relative risk aversion) 형태의 효용함수를 모형에 반영하였다. 또한 노동소득 및 자산가격 불확실성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2000년대 들어 크게 달라진 경제상황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론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적 위험자산비중은 위험자산의 초과수익률(위험자산과 안전자산간 수익률차), 투자자의 위험기피도, 그리고 투자자산 수익률의 불확실성 이외에 연령, 노동소득, 노동소득 불확실성 및 자산규모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의 증가는,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위험기피 성향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는 위험자산비중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자산가격의 불확실성과 노동소득의 불확실성 확대도 위험자산 수요 감소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분석결과는 T obit 모형에 의한 실증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즉 이론모형에서 고려되었던 모든 결정요인들이 위험자산 수요를 유의적으로 잘 설명하였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위험자산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였으며 연령과 위험자산에 대한 수요 간에는 음(-)의 비선형(non-linear) 관계(convexity)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차 례 >
Ⅰ. 머리말 1
Ⅱ. 가계의 금융자산 보유 현황 및 특징 5
1. 개인부문의 금융자산 보유 현황: 거시자료 5
2. 연령층별 금융자산 보유 현황: 미시자료 7
Ⅲ. 금융자산선택에 관한 이론적 논의 및 모형 설정 13
1. 자산선택에 관한 고전적 이론 13
2. 인구고령화를 감안한 금융자산선택에 관한 연구 16
3. 생애주기 자산선택모형: 이론적 논의의 확장 18
Ⅳ. 실증분석 26
1. 추정모형 및 자료의 설명 26
2. 기초통계 및 모형 추정결과 29
3. 모의실험: 위험 및 안전자산 비중 장기경로 예측 34
Ⅴ. 맺음말 38
< 참고문헌 > 40
< 부 록 >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