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엔거래 활성화의 원화환율 안정화 효과와 정책과제(금융경제연구 제249호)

등록일
2006.03.20
조회수
9087
키워드
은행간 외환거래 재정거래 유동성 공급자(LP) 제도 원.엔거래 원화환율
담당부서
연구조정실(금융연구실 서상원 과장(759-5411))

국내 원·엔거래 활성화의 원화환율 안정화 효과와 정책과제(금융경제연구 제249호)

저자: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금융연구실 서상원 과장

 우리나라의 원·엔거래는 대고객 거래만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은행간 거래는 현재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은행간 원·엔시장이 활성화가 되면 외환거래 수수료가 절감되는 효과이외에 원화환율의 동학(dynamics)에도 변화가 있음을 이론적으로 보였다. 분석결과 원·엔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존재하는 경우에 환율의 안정성 - 환율의 적정수준으로부터의 괴리 정도 및 환율의 변동성 - 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현실적으로 은행간 원·엔시장을 활성화시킬 방안으로서, 주식시장에서 유동성이 적은 종목에 대해 거래를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도입하여 성과를 거두고 있는 유동성 공급자(liquidity provider; LP) 제도를 은행간 원·엔 외환시장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