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경태(한국은행), 박재빈(숭실대학교)
<요약>
본 논문에서는 2021년 한국은행이 실시한 지급수단 및 모바일 금융 서비스 이용 행태 조사의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이 소비자들의 현금 수요와 모바일 앱 사용에 미친 영향이 디지털 이해도에 따라 어떻게 차이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 비하여 현금 보유를 줄이고 모바일 앱 사용을 늘리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됨에 따라 모바일 앱 사용 및 결제 비중은 증가하였으나, 현금 수요 및 결제 비중은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팬데믹 이후 현금 결제를 수용하지 않는 상점이 증가하는 가운데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들의 후생 손실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We examine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consumers’ cash demand and tendency towards mobile app payments by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In particular, based on the 2021 Bank of Korea’s Payment Methods Survey, we estimate the likelihood of a shift in payment methods based on social distancing levels. We provide evidence that digital literacy is mainly associated with preferences towards cash and mobile payments: The probability of decreasing cash holdings and increasing mobile app usage is significantly greater for digitally literate consum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likelihood of using mobile apps increases with tighter social distancing measures; however, the propensity to hold cash and the proportion of cash paymen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distinct levels of social distancing. Our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options for alternatives to cash are required to mitigate the welfare loss of digitally illiterate consumers as the emergence of cashless stores is prevalent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