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18-30호] Do Korean Exports Have Different Patterns over Different Regimes?: New Evidence from STAR-VECM

등록일
2018.10.04
조회수
15243
키워드
Exports Global GDP Exchange rate Regime change 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
등록자
최문정, Sei-Wan Kim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540)

제목 : 국면전환을 고려한 수출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저자 : Sei-Wan Kim (Ewha Womans University 경제학부), 최문정(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요약>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출과 그 결정요인(글로벌 GDP 및 환율) 간의 관계가 수출의 확장-수축기 국면전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출의 확장-수축기 간 동태적 국면전환과 변수 간의 공적분 관계를 고려한 분석방법인 평활전이 자기회기 벡터오차수정모형(STAR-VECM)을 도입하였다. 추정결과, 우리나라 수출과 글로벌 GDP 및 환율 간에는 안정적인 장기균형관계가 유지되나 이들 간의 단기관계는 수출의 국면전환에 따라 비대칭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글로벌 GDP 증가가 우리나라 수출증가율을 상승시키는 영향은 수출의 확장기에는 탄력적인 반면 수축기에는 비탄력적으로 나타났으며, 실질실효환율의 절하가 수출증가율을 상승시키는 영향도 확장기에는 탄력적이나 수축기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의 국면에 따라 주요 결정요인의 영향력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수출 전망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work we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s of Korean exports to global GDP and to the exchange rate change depending on whether exports are in their expansionary or their contractionary regimes. To this empirical end we incorporate the two distinct dynamic features of regime change and co-integration into a multi-variable 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STAR-VECM). Our estimation results reveal asymmetries in the short-run relationships of Korea’s exports to global GDP and to the exchange rate, between the contractionary and the expansionary export regimes, although their long-run relationships remain stable.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real global GDP on Korea’s real exports is inelastic during contractionary regimes but changes to become elastic in expansionary regimes. The effect of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on Korea’s real exports is positive and inelastic under contractionary regimes, but becomes negative and elastic under expansionary regim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symmetric properties of the relationship of Korea’s exports to global GDP and the exchange rates across the different regim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behavior of Korea’s exports.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