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18-44호] Determinants of Capital Flows in the Korean Bond Market

등록일
2018.12.19
조회수
14836
키워드
Capital flows Bond market Interest rate differentials Foreign currency reserves Korean
등록자
김수현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362)

제목 : 한국 채권시장의 해외자본 유출입 결정요인

저자 : 김수현(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요약>


본고는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해외중앙은행의 투자가 증대되고 글로벌 자본의 단기 차익거래가 감소하여 자본이동의 내외금리차 민감 도가 하락함에 따라,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자본흐름에도 새 국면이 도래하 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채권시장에 유입된 해외채권자본을 투자주체 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해외민간자본 중 은행자본은 내외금리차에 유의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타 투자주체의 자본은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체별 해외채권자본 유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요 해외중앙은행이 축적한 외환보유액이며, 글로벌 및 국가 리스크 요인도 중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이 해외채권자본이 내외 금리차에 민감하지 않게 된 원인은 국내 채권시장의 해외자본 구성 변화, 바젤 III 등 국제적 은행자본 규제, 자본 운영 주체의 리스크 관리, 주요국 외환보유액의 유입 증대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This study shows that interest rate differentials have minor impacts on overall capital flows into the Korean bond market. They are significant factors for private bank capital, however only for short-term interest rates, which takes up ignorable amounts in total capital balances. The most impressive factor is the foreign currency reserves owned by major central banks; these are particularly influential to capital flows throughout the sectors. Global and local risk indicators can also explain the variation of capital flows by sector. The underlying reasons behind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changes in the proportions of sectoral capital balanc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troduction of regulations on leverage ratios for international banks, risk management by investors, and increasing flows from foreign currency reserves of major central banks.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