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국제금융충격의 전달경로: 형태별 자본이동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저자 : 한바다(국제국 국제금융연구팀)
<요약>
본 연구는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위험선호 충격, 국제금융충격이 신흥국으로 전파되는 전달경로(transmission channel)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흥국이 주식 및 신흥국통화 표시 채무 형태로 해외자본을 조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국제금융충격의 신흥국 전달경로가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를 조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행연구의 신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국가간 패널회귀분석에서 국제금융충격에 대한 신흥국 취약성과 주식 및 신흥국통화 표시 채권 형태의 증권투자(portfolio investments) 간에 밀접한 상관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차입제약하 금융기관과 신흥국 주식 및 채권에 투자하는 글로벌 투자자를 포함하는 소규모 개방경제 모형을 개발하여 패널회귀분석의 실증적 결과를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모형을 대외부채의 대부분이 한국 원화 표시 주식 및 채무인 한국경제에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였다. 모형을 활용한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 결과 국제금융충격은 우리나라 금융시장 변동성의 큰 부분을 설명하는 지배적 요소(dominant factor)이며 실물경제 변동의 상당부분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적, 이론적 분석은 신흥국내 주식 및 채권시장으로의 증권투자가 국제금융충격이 신흥국으로 전달되는 중요경로 중의 하나임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I study channels through which risk-appetite shocks to global investors, i.e., global financial shocks, are transmitted to emerging market economies(EMEs). I focus on how transmission channels have changed as EMEs have become able to borrow abroad in the form of equity and local currency debt. First, I empirically show that much of the transmission of global financial shocks to EMEs is reflected in equity and local currency bond portfolio flows. I then develop a small open economy model which, augmented with leverage constrained banks and foreign investors who purchase equities and bonds, can replicate these empirical findings qualitatively. Finally, I calibrate the model to the Korean economy in which corporations and the government have no significant net foreign currency debts, but most of the external liabilities of the country are Korean won-denominated equities and debts.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odel suggests that global financial shocks are a dominant factor in financial market fluctuations an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dynamics of the real economy in Korea. In short, all the analysis in this paper implies that to a substantial extent, risk-appetite shocks to global investors are transmitted to EMEs via fickle portfolio flows to equity and local currency bond markets in 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