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22-8호] Exchange Rate Regime and Optimal Policy: The Case of China

등록일
2022.03.04
조회수
14856
키워드
China Exchange rate regimes Financial accelerator Foreign currency denominated debts Macroprudential policy
등록자
조유정, Yiping Huang, Changhua Yu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558)

제목 : 환율제도와 최적정책: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저자 : 조유정(국제경제연구실), Yiping Huang(북경대학교), Changhua Yu(북경대학교)


본 연구는 중국의 특수성을 포함한 소규모 개방경제 모형을 이용하여 외채가 존재하는 경우 환율 변동이 경제와 사회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모형 추정 결과, 다양한 외생적 충격시 중국에서 환율 변동을 통한 무역경로 뿐만 아니라 금융경로도 원활히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정환율제도보다 변동환율제도 하에서의 주요 거시경제변수의 변동성이 축소되고 사회적 후생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자본유입세, 기업 외환 레버리지세 등 외환부문 거시건전성정책을 통화정책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모든 환율제도 하에서 사회적 후생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중국의 환율제도 선택 및 외채 관리를 위한 정책수단 도입 결정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financial friction in a situation with foreign currency- denominated debt could affect the Chinese economy and social welfare using a small open economy model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We find that the financial channel, as well as the trade channel, operates well in response to various external shocks. In addition, macroeconomic variables are more stable and bring higher welfare under a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than under a fixed exchange rate system. Finally, in an economy with macroprudential policies, such as a capital inflow tax and financial regulation, welfare is higher than in an economy without such policies under either exchange rate regime. This analysis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hoice of exchange rate regime and for foreign debt management in China.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