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이재원(한국은행), 박웅용(서울대학교), 황설웅(한국은행)
<요약>
본 연구는 인구구조 변화가 한국의 실질금리 추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대외개방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특성을 반영한 개방경제 생애주기모형을 구축하여 과거 실질금리의 추세를 설명하고, 장기적인 실질금리 경로를 전망하였다. 모형은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실질금리가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낸 것과 시간이 흐르며 하락해온 추세를 성공적으로 설명하였다. 분석 결과, 실질금리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는 기대수명의 증가와 순환율의 저하라는 두 가지 인구구조적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그 영향의 크기와 지속 기간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구구조 변화가 장기 실질금리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향후 거시경제 정책 및 재정운용 전략 수립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