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Hybrid Phillips Curve in Korea(금융경제연구 제346호)

등록일
2008.10.02
조회수
5822
키워드
Hybrid Phillips Curve Korean inflation Instrumental variable L2-boosting method Estimation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88)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Hybrid Phillips Curve)이 우리나
라에도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구조형(Structural Form) 및 폐쇄형(Closed
Form) 방정식을 설정하여 GMM을 통해 검증한다. 미국경제를 대상으
로 한 실증분석 결과, 추정 모형 및 대상 인플레이션 지수 선택에 따라
결과와 모형이 의미하는 핵심적인 결론이 뒤바뀌기 때문에 설정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이견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최근의 실증분석
논쟁을 우리나라에 반영하여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을 추정한 결과가
어느 정도 강건(robust)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플레이션 결
정행태를 분석한다.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은 통상 도구변수를 이용하여 추정되는데 도구
변수들은 이론적으로 타당한 여러 변수를 자의적으로 선택하는 방식이
쓰여진다. 하지만 도구변수선택에 따라서도 추정결과가 뒤바뀐다는 비판
이 제기되어 왔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고는 이론
적으로 타당한 도구변수 중에서 통계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도구변수
들을 체계적으로 선택(L2-boosting method)하여 실증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추정 모형 및 대상 인플레이션 지표에 상관없이 하이브리
드 필립스곡선의 추정계수들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난 점에 비추어 볼
때 동 방정식이 우리나라 인플레이션 변동요인을 설명하는 행태방정식
으로 어느 정도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질한계비용이 인플레
이션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기업들의 평균 가격조정주기는 1년에 한
번 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들은 가격경직성 상황하에서
앞으로의 경제상황을 감안해서 가격을 설정하는 등 미래지향적 기대행
태 또한 과거인플레이션과 함께 현재의 인플레이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붙임화일"을 참조하세요.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