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 Structural Parameters of DSGE Models Stable in Korea?(금융경제연구 제381호)
저자: 이지호
DSGE모형은 정책이나 경제환경 변화 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
인 구조적 모수(structural parameter)에 기반하고 있어 Lucas 비판
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우리나라
의 1973.1/4~2008.3/4분기중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1997년 외환위기
를 전후하여 모형내 기술적 충격의 지속성 및 변동성, 여가에 대한
선호 등 구조적 모수들이 과연 안정적이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Peter Ireland (2004)가 개발한 칼만필터
링(Kalman filtering)을 이용한 DSGE-VAR 최우추정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실물경기변동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비구조적 모수(non-structural parameters)의 안정성은
통계적으로 기각된 반면, 구조적 모수의 안정성은 기각할 수 없었
다. 이는 임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적 충격으로서 기술적 충
격만을 모형에 포함하였기 때문에 각종 경제정책에서의 변화가 기
술적 충격과 관련된 구조적 모수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 데에 기인
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 결과의 강건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른 시점
에 대해서도 이를 테스트한 결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아울러 주요 변수를 예측함에 있어 현 DSGE모형이 VAR모형
에 비해 우월하였을 뿐만 아니라 모의실험 결과 추정된 DSGE모형
이 소비, 투자 및 노동시간의 소득에 대한 상대적 변동성 및 소득
과의 동행성을 비교적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 등에서의 충격을 모형
에 추가함으로써 모형의 현실성을 제고하는 한편 이러한 변화가
구조적 모수의 안정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등에 대해서
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Introduction 1
2. Setting up a Baseline DSGE Model 3
3. Solving the Model 5
4. Model Estimation Methodology 8
5. Empirical Results 12
6. Conclusion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