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Ⅰ.국제수지표
제1장 국제수지표의 의의와 연혁
1. 국제수지표의 의의
2. 국제수지표의 연혁
제2장 국제수지표의 주요 개념
1. 복식부기 원칙
2. 거주성
3. 거래의 평가
4. 계상시점
5. 계산단위 및 환산
제3장 국민계정 및 통화지표와의 관계
1. 국민계정과의 관계
2. 통화지표와의 관계
제4장 국제수지표의 편제개관
1. 국제수지표의 구성
2. 기초자료
3. 국제수지표 편제 흐름도
4. 국제수지표의 공표방법
5. 국제수지표의 편제실례
제5장 경상수지 부문별 편제방법
1. 상품수지
2. 서비스수지
3. 본원소득수지
4. 이전소득수지
제6장 금융계정 부문별 편제방법
1. 직접투자
2. 증권투자
3. 파생금융상품
4. 기타투자
5. 준비자산
제7장 자본수지 편제방법
제8장 지역별 국제수지표의 이해
1. 지역별 국제수지표의 의의 및 연혁
2. 지역별 경상수지 편제방법
3. 지역별 자본수지 및 금융계정 편제방법
제9장 1950년 이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동향
1. 개관
2. 1950년대 동향
3. 1960년대 동향
4. 1970년대 동향
5. 1980년대 동향
6. 1990년대 동향
7. 2000년 이후의 동향
Ⅱ.결제통화별 수출입통계
제1장 결제통화별 수출입통계의 의의와 연혁
제2장 결제통화별 수출입통계 편제방법
1. 기초자료 및 편제대상 결제통화
2. 결제통화별 수출입통계 분류체계
3. 결제통화별 수출입통계 작성방법
<부록> 금융계정 관련 주요 보고서
<부록 I-6-1>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 현황 보고서(FX5461)
<부록 I-6-2> 파생금융거래 잔액 보고서(FX5490)
<부록 I-6-3> 비은행금융기관 해외예치금 잔액 증감내역 보고서(FX5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