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지해명(강원대학교)
<요약>
산업별 고용변화가 유발하는 고용유발효과와 산업별 고용기회비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업잉여를 내생화한 공급승수를 유도하였고, 공급승수를 변환한 고용승수(외생 고용변화→내생 고용변화 유발효과 분석모형)를 정립하였다. 실증분석에서 첫째, 서비스업 평균 고용유발효과는 제조업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분석되지만 고용비용을 감안하면 사적 소비자서비스업이나 생산자서비스업의 고용유발효과는 제조업보다 크게 나타난다. 둘째, 산업별 고용연관구조에서는 서비스업 특히 도소매업이 산업별 고용창출에 크게 기여하는 산업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수요승수(최종수요-생산) 분석과는 달리 고용승수분석에서는 제조업은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의 고용을 많이 창출하며, 서비스업 고용변화는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의 고용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