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산업 간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구분
기업·산업
등록일
2018.09.30
조회수
20928
키워드
총요소생산성 산업간혁신확산 중간재투입·수입경로 패널공적분
등록자
김원규
담당부서
연구조정실(02-759-5407)
첨부파일

저자 : 김원규(산업연구원)



<요약>

  본 연구에서는 혁신을 나타내는 변수로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을 고려하면서 1998-2016년 기간과 전산업을 포괄하는 30개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별 총요소생산성, 산업별 연구개발스톡, 국산중간재 투입구조 또는 수요구조를 고려한 여타 산업 총요소생산성 간의 장기적 관계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국산중간재 투입·수요구조를 고려한 여타 산업 총요소생산성은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서비스업/기타산업의 추정결과에 기초할 때, 개별 30개 산업의 총요소생산성(연구개발스톡)이 1%(10%) 증가할 경우 전산업의 총요소생산성은 국산중간재 투입·수요구조를 통하여 1.34%(1.0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