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는 「지급결제제도 운영·관리규정」 제44조 제1항이 정하는 바에 따라 2021년도 지급결제제도 운영·관리상황에 관하여 2022년 4월 14일 금융통화위원회에 제출한 내용을 국민과 관계기관 직원들이 알 수 있도록 공표하는 것입니다.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통계 및 자료 제공에 협조하여 주신 기관에 감사드립니다.
2021년도 지급결제보고서의 수록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개 관 ] PDF파일 다운로드
Ⅰ. 지급결제 환경 변화 PDF파일 다운로드
1. 비대면 지급서비스 및 오픈뱅킹 이용 확대
2.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 및 스테이블코인 규제·감시 관련 논의 심화
3. 중앙은행·국제기구의 지급결제인프라 개선 노력
4. 지급결제 분야의 디지털 확산에 따른 사이버 리스크 증대
Ⅱ. 지급결제제도 정책대응 및 감시 PDF파일 다운로드
1. 지급결제제도 확충 및 개선
2. 지급결제제도 혁신 및 발전 지원
3. 지급결제제도 감시
Ⅲ. 지급결제 동향 및 결제리스크 관리 PDF파일 다운로드
1. 거액결제시스템
2. 소액결제시스템
3. 외환동시결제시스템
4. 증권결제시스템
Ⅳ. 향후 정책방향 PDF파일 다운로드
1. 지급결제인프라 확충 및 안전성 제고
2. 지급결제 혁신과 발전 촉진
3. 지급결제제도 감시 강화
[ 부 록 ] PDF파일 다운로드
1. 금융통화위원회 주요 의결사항
2. 2021년 중 주요 일지
3. 결제완결성 보장 대상 지급결제시스템 지정 현황
4. 통계
5. 용어해설
[ 참 고 ] PDF파일 다운로드
I-1. 2021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
I-2. CBDC 도입 관련 논의 확산 배경 및 주요국 중앙은행의 연구 동향
I-3. CBDC를 이용한 국가 간 지급 개선 관련 논의 및 연구 동향
I-4. CPMI-IOSCO의 스테이블코인 시스템에 대한 PFMI 적용 보고서
I-5. 유로시스템(Eurosystem)의 전자지급에 대한 통합 감시체계(PISA Framework)
II-1.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운영 현황
II-2. 금융권 운영 ATM·지점 정보제공 모바일 서비스 현황
II-3. 「G20 국가 간 지급서비스 개선 로드맵」 진행상황과 한국은행의 대응
II-4. ISO/TC68 개요
II-5. 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의 주요 내용
II-6. CBDC 설계 및 운영 방식, 파급효과 관련 글로벌 논의 동향
II-7. 한국은행의 지급결제제도 감시
III-1. 참가기관과 한국은행 간 거래
III-2. 비현금 지급수단 이용 동향
Ⅳ-1. 주요국의 RTGS방식 신속자금이체시스템 구축배경과 중앙은행의 역할
Ⅳ-2. 지급결제시스템의 국가 간 연계 사례 및 시사점
Ⅳ-3. 주요국의 국제금융전문표준(ISO 20022) 도입 배경과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