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유통산업 실태분석

구분
등록일
1997.12.29
조회수
3441
키워드
담당부서
첨부파일
〈요 약〉 Ⅰ. 인천지역 유통산업 현황 1. 유통환경 <면적.인구> ― ´96년말 현재 인천지역의 총면적은 956.0㎢로 전국의 0.96%를 차 지하며 총인구수는 2,404천명으로 전국의 5.3%를 차지 o 총면적은 ´85∼´96년중 연평균 14.9% 증가하였으며 인구는 5.1% 증가하 여 각각 전국평균증가율 0.03%, 0.9%를 크게 상회 <지역총생산> ― 지역총생산액(GRDP)은 17조 6,840억원(´95년중)으로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 o 1인당 지역총생산은 8,027천원으로 전국(7,811천원)의 102.8% 수준이며 6대도시중 가장 높음 <도로.차량> ― 인천의 도로 총연장(´96년말)은 1,699㎞(전국의 2.1%)로서 인구 1천명당 도로포장은 0.62㎞, 도로율은 17.1%로 각각 6대도시중 부산다음으로 낮은 수준. ― 총차량대수는 ´96년말 504천대로 전국의 5.3%를 차지 2. 유통산업 현황 <도.소매업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 인천지역 도매업의 사업체수는 4,289개, 종사자수는 20,942명 으로 각각 전국대비 2.8%, 2.7%이며, 소매업 사업체수는 34,867개, 종사자수는 71,722명으로 각각 전국대비 4.6%, 4.8% o 6대도시와 비교하면 사업체당 종사자수(2.5명), 지역산업내비중(16.0%) 및 인구대비비중(종사자수 기준, 4.7%)은 6대도시중 가장 낮은 수준 <소매업 현황> ― 인천지역에서 영업중인 백화점(´95년말)은 5개이며, 매장면적 은 15,929평, 종업원수는 2,271명, 전국비중은 각각 5% 수준 o ´97.11월 신세계백화점 인천점이 새로 개점한데 이어 99년말까지 2-3개 백화점 추가 진출예정 ― 영업중인 대형할인점은 5개로서 매장면적은 26,146평, 종업원 수는 561명, 모두 창고형할인점(MWC)형태를 띠고 있음 o ´95.11월 킴스클럽 구월점이 최초로 진출한 이후 신세계백화점의 E-마트 부평점(95.12), 한국마크로(96.1), 킴스클럽 연수점(96.2)등이 잇달아 개점하였으며 추가로 한화마트(97.12), 한국까르프(98.2) 등 개점이 예정 ― 인천지역의 편의점은 119개(세븐일레븐 등 10개업체)로 전국 비중은 6.3%이며 6대도시중 가장 높은 수준 ― 인천지역 슈퍼마켓(금번 조사대상)의 업체당평균매장면적은 99평, 평균매출액은 1,396백만원, 평균종사자수는 8.4명 수준 Ⅱ. 실태조사 결과 1. 백화점 (1) 경영동향 ― 조사대상 백화점(4개)의 총매장면적(´97년 6월말) 26,767평으 로 전년말 대비 1.3% 증가 o 이중 직영매장이 17,689평(66.1%), 수수료매장 4,122평(15.4%), 임대매장 4,956평(18.5%)으로 구성 ― 백화점종업원수는 4,240명(업체당평균 1,060명)으로 전년말 대비 4.1% 감소 o 직종별로는 관리직이 12.4%, 영업직 19.5%, 판촉사원 66.0%, 임시종사자 2.1%로 구성 ― 업체당 매출총이익률은 ´96년중 21.1%로 전년(20.7%)과 비슷 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영업이익률은 전년(2.6%)보다 0.5% 포인트 하락한 2.1%를 기록 o 매출성장률(2.1%) 둔화와 영업경비(11.6%)의 높은 증가에 기인 ― 평균재고액(´96년중)은 9.070백만원으로 전년대비 20.5% 증가하 였으며, 1일평균고객수는 11,497명으로 전년보다 3.9% 감소 o 이는 대형할인점의 출현에 따른 고객이탈현상이 심화된 데 기인 ― 백화점에 설치된 컴퓨터는 383대(업체평균 95.8대), POS기기는 294 대(업체평균 73.5대)로 ´96년말대비 각각 11.4%, 0.7% 증가 o 소스마킹(제조업체에서 상품바코드 부착)비율은 69.0%, 인스토어마킹 (유통업체에서 상품바코드 부착)비율 30.3%, 기타(수작업)비율은 0.7% (2) 판매동향 ― 백화점들의 업체평균매출액(´96년중)은 93,773백만원으로 경기침체 와 대형할인점의 출현으로 매출신장세가 크게 둔화 (16.9%→2.1%) o 상품별 매출비중(´97년 상반기중)은 국내상품의 경우 의류(41.8%), 신변잡화(19.9%), 음식료품(18.7%), 전기전자(8.8%) 순이었으며 수입상품은 전기전자(29.0%), 의류(28.0%), 신변잡화(24.0%), 주방용품(14.0%)순 ― 판매형태로는 점내판매 98.5%, 점외판매 1.5%이었으며, 결제 수단은 현금(50.9%)과 신용(49.1%)이 비슷한 수준 o 상품권판매액은 업체평균 3,095백만원으로 매출액의 3.4%를 차지하였으 며 통신판매액은 업체평균 283백만원으로 전년대비 36.2% 증가하였으나 전체 매출액대비 0.3%로 미미한 수준 ― 백화점을 찾는 소비자의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