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기조사결과(1/4동향,2/4전망)

구분
등록일
1998.04.03
조회수
2862
키워드
담당부서
첨부파일
1. ´98. 1/4분기 기업경기동향 가. 제 조 업 ― ´98. 1/4분기중 인천지역의 제조업 업황 BSI는 27을 기록함으로써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매우 저조하였던 것으로 조사됨 ― 생산, 매출, 신규수주 증가율 BSI는 각각 40, 35, 39로 나타나 크게 부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ㅇ 특히 내수증가율 BSI는 21로 고용불안 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크게 부진하였음 ― 제품재고수준 BSI는 120을 기록하여 기업의 재고부담이 지속되는 가운데 조선·기타운수(200), 기타기계·장비 (154), 가죽·신발(150), 고무·플라스틱(150) 등의 업종 에서 특히 재고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남 ― 생산설비수준 BSI와 설비투자실행 BSI는 각각 121과 44로 나타나 기업들은 제품판매부진에 따른 재고누적으로 현재의 생산설비가 과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설비투자실행을 당초 계획보다 축소하거나 연기한 업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채산성 BSI는 37을 기록하여 제조업의 수익성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목재·나무(7), 조립 금속(18), 1차금속(25) 등 지역특화업종의 채산성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남 ― 고용수준 BSI는 122를 기록하여 경기부진에 따른 기업들의 조업단축 등으로 제조업의 고용인력이 과잉상태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현상은 부문별(경공업, 중화학공업), 기업 규모별(대기업, 중소기업)로 별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나. 비제조업 ― ´98. 1/4분기중 비제조업(금융보험업 등 제외)의 업황 BSI도 27을 기록하여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남 ― 매출증가율 및 채산성 BSI도 각각 35, 33에 그쳐 매출활동과 채산성 부진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조사됨 2. ´98. 2/4분기 기업경기전망 가. 제 조 업 ― ´98. 2/4분기중 인천지역 제조업의 업황전망BSI는 42로 나타나 기업들의 체감경기부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전국평균 BSI (52)에 비하여도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됨 ― 매출증가율 전망BSI는 외환시장의 안정에 따른 수출(111) 부문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고용불안과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내수(34)부문의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56의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신규수주증가율 전망BSI도 54로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 ― 제품재고수준 전망BSI는 108로 나타나 재고과잉현상이 펄프·종이, 화합·화학제품, 전기·기계 등을 중심으로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이나, 채산성 전망BSI(45)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제조업의 수익성 악화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생산설비수준 전망BSI는 117로 나타나 설비과잉상태가 2/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업들의 설비 투자실행(전망BSI=46)도 전분기(44)와 비슷한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나. 비제조업 ― ´98. 2/4분기중 비제조업의 업황전망BSI는 29로 나타나 비제조업의 경기도 계속 부진할 것으로 전망됨 ㅇ 업종별로는 숙박업(100)을 제외한 도소매업(14), 건설업 (15), 운수·창고·통신업(40) 등 대부분의 업종이 저조 하였음 ― 매출증가율(38) 및 채산성(38) 전망BSI가 1/4분기와 비슷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매출 둔화와 수익성 악화가 지속될 전망이며, 고용수준 전망BSI도 116의 높은 수준으로 인력 과잉현상이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