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한은이 : 아.. 이 돈을 가지고 그 동안 사고 싶었던 것을 먼저 사고 나머지를 저축할까? 아니면 저축을 먼저 할까?
중은이 : 그래! 저축을 먼저 하고 남은 돈을 쓰자! 그래야 돈을 모으지!
선생님 : 안녕하세요? 21일간의 경제여행 일곱 번째 시간입니다. 지금부터 일곱 번째 여행을 시작해 볼까요? 오늘은 저축은 왜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여행을 시작해 볼까요?
한은이 : 저는 한 달에 한 번 용돈을 받아요. 또 가끔씩 심부름을 하거나 부모님의 구두를 닦고 돈을 번답니다. 이처럼 제가 받는 용돈과 버는 돈은 저의 소득이 됩니다. 또 저는 이 소득을 가지고 소비도 하고 저축도 합니다. 예를 들어 제 소득이 10000원인데 장난감을 사는 데 7000원을 썼다면 나머지 3000원을 저축 합니다. 소비를 많이 하면 저축할 돈이 그만큼 적어지고요, 저축을 많이 하면 소비할 돈이 적어진답니다.
선생님 : 우리는 소비하기 위해서 일을 하여 소득을 법니다. 그만큼 소비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저축도 매우 중요합니다. 소비가 더 중요할까요? 아니면 저축이 더 중요할까요? 두 가지가 모두 중요하기 때문에 한 마디로 답하기가 어렵습니다. 저축을 많이 하기 위해서는 저축 계획을 먼저 세우고 이 계획에 따라 저축한 다음에 남은 돈을 가지고 소비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선생님 : 여러분 모두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를 잘 알고 있지요? 개미는 여름에 땀 흘려 노력하여 알뜰히 저축했기 때문에 추운 겨울에도 배고프지 않게 지낼 수 있었습니다. 저축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전해주는 우화입니다. 우리의 현실 생활에서도 정말 저축이 그렇게 중요할까요? 왜 어른들은 여러분에게 저축을 하라고 자주 말씀하실까요?
중은이 : 누나.. 꼭 사고 싶은 게 있는데 돈이 없어서 못 사겠어..
한은이 : 그러게 내가 평소에 저축을 좀 하랬더니만!
선생님 : 이런 경우 원하는 물건을 사는 것을 포기해야 하나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꼭 원하는 물건을 사기 위해서는 저축 목표와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계획에 따라 저축을 실행한 사람은 비싸더라도 원하는 물건을 살 수 있지만 저축을 하지 않은 사람은 원하는 물건을 살 수 없습니다.
선생님 : 어떤 사람이 큰 병에 걸려 수술비가 많이 드는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만약 이 사람이 저축을 충분히 해놓지 않았다면 수술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앞으로 우리에게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태풍이나 화재로 인해 집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으며 교통사고나 병으로 직장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것들에 대비해서 미리미리 저축을 해놓은 사람은 갑자기 불행한 일이 닥치더라도 문제없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저축을 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입니다.
선생님 :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를 다시 생각해 봅시다. 베짱이는 여름에 일을 해서 저축하는 것과 노는 것 가운데 노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당장은 노는 것이 즐겁고 욕구를 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베짱이가 노는 것을 선택할 때의 기회비용은 무엇인가요? 베짱이는 여름에 노는 것을 선택했기 때문에 겨울에 음식을 먹을 수 없게 되었으므로 노는 것의 기회비용은 겨울에 먹을 음식입니다. 베짱이와 달리 개미는 여름에 땀 흘려 일하여 음식을 저축하기로 선택했습니다. 물론 개미에게도 기회비용은 발생합니다. 개미가 선택한 저축의 기회비용은 여름에 시원한 그늘에서 노는 것입니다. 저축하지 않기로 선택한 베짱이는 겨울이 되어 후회했고, 저축을 선택한 개미는 겨울에 따뜻한 밥을 배부르게 먹을 수 있었습니다.
선생님 : 미래에 쓰기 위해 지금 쓰지 않고 돈을 남겨두는 것이 저축입니다. 저축을 하면 당장 사고 싶은 것을 사지 못해 아쉽겠지만 그 대신 미래에 더 큰 것을 살 수 있습니다. 눈앞의 욕구를 참고 절약하여 저축한다면 나중에 그보다 훨씬 큰 보람과 대가가 따르며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지금 돈을 다 써버리는 것보다 저축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돈을 쓰고 싶은 욕구를 참고 저축하는 습관을 지니는 데 도움이 되는 좋은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자신이 미래에 사고 싶은 것을 목표로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저축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저축에 재미가 생기고 저축하기가 한결 쉬워질 것입니다.
쟁반퀴즈방, 여러분이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볼까요? 지금부터 문제를 하나씩 풀어보세요.
Q1. 한은이는 가끔씩 부모님의 심부름을 합니다. 부모님의 구두를 닦아 드리기도 하고, 화장실 청소를 도와드리기도 합니다. 한은이의 부모님은 이런 한은이의 심부름에 대하여 매주 용돈을 주십니다. 이런 용돈을 무엇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① 저축 ② 소비 ③ 대출 ④ 소득
Q2. 낭비돌이는 매주 부모님게 용돈을 5,000원씩 받습니다. 낭비돌이는 이 용돈을 가지고 공부하는데 꼭 필요한 공책과 연필을 사고 나머지 돈으로 평소 갖고 싶었던 장난감, 만화, 과자 등을 삽니다. 그런데 이번 주에는 그만 게임방에서 게임을 하는데 용돈을 모두 써버려서 꼭 사야 하는 공책과 연필을 사지 못했습니다. 낭비돌이는 앞으로 어떻게 소비 습관을 바꿔야 할까요?
① 용돈은 사고 싶은 것을 사라고 주는 것이므로 용돈액수에 상관없이 일단 사고 싶은 것은 아무것이나 산다.
② 용돈의 범위 내에서 나에게 꼭 필요한 것만을 산다.
③ 용돈은 소중한 것이므로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④ 일단 받은 용돈는 빨리 쓰고 부모님게 더 달라고 떼쓴다.
Q3. 소득에서 소비하고 남은 부분, 득 소득에서 소비를 밴 부분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① 저축 ② 예금 ③ 대출 ④ 수출
1. 저축이 먼저인가요, 소비가 먼저인가요?
- 소득을 가지고 소비하거나 저축해요
- 돈을 많이 모으려면 소비보다 저축을 먼저 하는 것이 좋아요
2. 저축해야 왜 해야 하나요? 또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목돈이 드는 경우를 위해 저축이 필요해요
- 불행한 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저축이 필요해요
- 평소에 저축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해요.
3. 저축에도 기회비용이 있다고요?
- 저축을 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것을 저축의 기회비용이라고 해요.
- 눈 앞의 욕구를 참고 저축하면 미래에 대가를 얻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