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자본스톡행렬 작성방법 및 시산결과 분석(계간 국민계정 2005년 제3호)
- 등록일
- 2005.10.28
- 조회수
- 13986
- 키워드
- 담당부서
-
통계기획팀(02-759-4407)
- 계간 국민계정 2005년 제3호 게재(작성자 : 경제통계국 투입산출팀 신창식 차장)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자본스톡행렬을 시산하여 산업별 자본재유형별 자본스톡 및 자본계수 추이, 최종수요의 자본유발효과 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년접속법에 의해 19개 자산과 28개 산업으로 구성된 1995~2000년중 자본스톡행렬을 자산의 사용자 기준으로 시산하였다. 자본스톡행렬 시산결과 1995~2000년중 자본스톡은 연평균 6% 내외의 증가세를 기록한 가운데 외환위기를 분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에는 제조업의 증가세가 서비스업보다 높았으나 그 이후에는 서비스업 증가세가 제조업의 증가세보다 높았다. 자본재 유형별로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IT 자본스톡의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최종수요 항목별 자본유발효과는 자본스톡의 생산성 향상 등을 반영하여 소비 투자 수출 모두 자본유발효과가 낮아진 가운데 수출의 자본유발효과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