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간소비 호조 배경 및 향후 여건 점검

구분
세계경제
등록일
2019.11.03
조회수
21778
키워드
미국 민간 소비 가계 소득 여건 개선 양호한 가계 재무 구조 확장적 재정 정책 고용 시장 위축
담당부서
조사국 미국유럽경제팀(02-759-5270)

미국 민간소비 호조 배경 및 향후 여건 점검

(국제경제리뷰, 제2019-18호)

【주요 특징】


◆(검토배경)미국 경제는 민간소비 호조에 힘입어 여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양호한 성장흐름을 지속

 ㅇ 그러나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으로 세계 교역과 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최근 장단기금리 역전 등을 계기로 미국의 경기 위축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

 →  미국 경제의 성장세를 주도해온 민간소비의 동향 및 호조 배경을 살펴보고 향후 주요 리스크 요인을 점검


◆(최근 동향)미국 민간소비는 2014년 이후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경제성장의 추동력으로 작용

 ㅇ민간소비 증가율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0%(2014~18년중)로 큰 폭 확대되었으며 성장기여도는 연평균 2.0%p(2014~18년중)로 경제성장의 약 85%(기여율)를 담당


◆(호조 배경)최근 민간소비의 호조세는 ①가계 소득여건 개선, ②양호한 가계 재무구조, ③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소비여력이 확충된 데 주로 기인

 ①(가계소득 여건 개선)일자리 증가, 임금 상승 등 고용시장이 호조를 나타내면서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가계 소득여건이 빠르게 개선

   ▪ 기업이익 증가에 힘입어 고용시장이 노동수요 우위 상황(구인>구직)으로 전환되면서 취업자수, 시간당 임금 상승률 등이 양호한 증가세를 지속

 ②(양호한 가계 재무구조)금융위기 이후 가계의 소득 대비 부채부담이 완화되고 연체가구 비중도 축소되면서 소비여력이 확충

   ▪ 아울러 주식시장 호조 등으로 가계 금융자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배당소득도 크게 늘어나면서 소비여건 개선에 일조

 ③(확장적 재정정책)미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이 가계 가처분소득 증가, 고용 증대 등으로 이어져 민간소비 확대에 기여

   ▪ 2014년부터 정부지출을 확대한 데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감세, 재량지출 상한 증액 등 적극적 재정정책 수행으로 소비 확대에 기여


◆(향후 여건 점검)민간소비를 위축시켜 경기 하강을 초래할 수 있는 대내외 주요 리스크 요인(①고용시장 위축, ②미·중 무역갈등, ③주택시장 경기 둔화)을 점검

 ①(고용시장 위축)낮은 수준의 실업률 지속, 견실한 기업 노동수요 등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고용시장이 급격하게 위축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

   ▪ 다만 향후 대외수요 감소, 교역 부진 등이 심화될 경우 일부 업종의 노동수요 둔화 조짐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될 소지

 ②(미·중 무역갈등)최근 미-중간 협상 진전에도 불구하고 향후 갈등 심화로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민간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 주가 하락에 따른 자산효과 축소,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력 저하, 소비심리 및 기업의 투자?고용 의욕 위축 등이 리스크로 상존

 ③(주택시장 경기 둔화)주택경기 둔화는 소득 감소, 자산효과 축소 등을 통해 민간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

   ▪ 그러나 미 경제의 양호한 성장세, 모기지금리 하락 등을 고려할 때 단기간 내에 주택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속단하기는 어려운 상황


◆(종합평가)미국 경제는 민간소비 호조를 바탕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경기 하강 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 민간소비와 연관된 리스크 요인을 주목할 필요

 ㅇ미국 민간소비는 세계 GDP의 16.5%(2018년 명목 기준)를 차지하며 글로벌 성장 및 교역을 통해 우리 경제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향후 둔화 가능성에도 유의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국제경제부 국제종합팀
전화번호
02-759-4279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