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저축률 추이와 대전충남지역 가계저축 동향

구분
등록일
1999.10.26
조회수
2879
키워드
담당부서
첨부파일
제목 : 우리나라의 貯蓄率 推移와 대전·충남지역 가계저축 동향 1. 국민저축률 추이 □ 우리나라의 國民總貯蓄率은 ´88년 39.3%까지 상승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消費增加率이 所得增加率을 상회하면서 완만한 하락 추세 지속 ― 특히 ´99년 상반기중에는 국민총저축률이 30.6%로 ´98년 상반기(33.7%) 보다 3.1%p나 하락 o 이는 ´99년 상반기중 소득은 전년동기에 비해 0.8% 증가한데 그친 반면 소비지출이 전년동기대비 5.6%나 증가한 데 기인 2. 대전·충남지역 저축률 동향 □ 대전·충남지역의 저축률*도 98년중에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99년 들어서는 소득증가율을 상회하는 소비증가로 저축률이 하락한 것으로 추정 * 저축률은 국민경제 전체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의 규모를 나타내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중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에 의해 그 해에 소비되지 않고 저축으로 남아 있는 비율을 의미하는데 국민소득 및 가계지출 등의 통계 추계가 지역단위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대전·충남지역에 한 정확한 저축률 추계는 곤란하나 관련지표들을 감안하여 추정해 볼 수는 있음 ― 98년중에는 외환위기 이후 고용감소 및 임금삭감 등으로 가계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불확실한 미래의 지출에 대비하여 o 98년중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가계소득은 8.2% 감소한 데 비해 대전지역의 백화점 매출액은 30.9%나 감소 o 소득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계소비를 더 큰 폭으로 줄이고 남은 여유자금을 고금리 대출금 상환에 활용함으로써 98년중 대전· 충남지역의 가계대출은 6.5% 감소 ― 금년들어서도 가계소득은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경기회복으로 고용 등 장래의 경제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다소 해소된 데다 금리하락 등으로 금융비용부담이 줄어듦에 따라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가계소비도 99년들어 큰 폭으로 증가 * 금년 상반기중 전 산업 상용근로자의 명목임금은 8.0% 증가하였으나 금리하락 등에 따른 금융소득 감소 등으로 전체 가계소득은 소폭 감소 o 우리나라 전체의 가계소득은 지난해에 이어 99년 상반기중에도 전년동기대비 1.5% 감소 ― 이러한 가운데 대전·충남지역의 경우 가계소비의 대용지표로 볼 수 있는 가계대출과 백화점 판매액이 금년들어 큰 폭으로 증가함으로써 이 지역의 저축률도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 o 대전·충남지역의 가계대출은 지난해에는 6.5% 감소하였으나 99년 들어 증가추세를 보여 99년 상반기중에만 26.0% 증가 o 대전지역 백화점 판매액은 지난해에는 30.9% 감소하였으나 금년들어 가계소비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면서 99년 상반기중에는 7.9% 증가로 반전 ― 한국은행 대전지점에서 실시한 대전·충남지역 소비자동향 조사결과(99.8월) 99년 하반기 소비지출전망CSI가 104.9로 상반기(100.0)에 비해 4.9%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소비지출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저축률은 당분간 하향추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 <참고> 貯蓄의 國民經濟的 意義 □ 저축은 바로 企業의 投資財源이라는 점에서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음 ― 과거 우리나라는 資源과 資本이 빈약한 상태에서 경제개발을 추진하면 서 부족한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저축이 강조되어 왔으며 그동안의 높은 저축률은 우리나라가 지난 30여년간 고도성장을 하는 밑거름이 되어 왔음 □ 저축은 개인적으로는 미래의 더 큰 소비를 위해 현재의 소비를 포기하는 고도의 계산된 消費行爲이지만 국가전체의 소비수준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국민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됨 ― 일반적으로 소비가 늘면 기업의 生産活動이 활발해지면서 경기가 상승하게 되지만 소비 수준이 국내 기업의 생산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物價를 上昇시킬 뿐만 아니라 수입을 증가시켜 경상수지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 ― 또한 소비가 큰 폭으로 늘어 저축이 기업의 투자재원을 충당하지 못하게 되면 기업은 외국으로부터 資本을 조달 할 수밖에 없어 外債가 증가하게 됨* * 고도성장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높은 저축률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들의 왕성한 投資(중복·과잉투자에 따른 낭비적인 요소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기업들의 이러한 투자가 경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