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기업경기조사(98.1/4동향및2/4전망)결과
-
- 구분
- 등록일
- 1998.03.27
- 조회수
- 4324
- 키워드
- 담당부서
-
― 98. 1/4분기중 대구·경북지역 제조업의 업황BSI는 전국평균(35)보다 다소 높은 43을 기록하였으나 100을 크게 하회하여 역내 제조업의 체감경기가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음 ㅇ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 조립금속, 제1차금속, 기타기계·장비 등의 업종이 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업종의 경우에는 100을 하회하였으나 업황이 다소 개선된 업체수가 전분기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한편, 수요부문별로는 수출기업(66)보다 내수기업(31)이 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음 제조업 업황BSI 추이 96.3/4 4/4 97.1/4 2/4 3/4 4/4 98.1/4 2/4(e) 전 국 81 76 64 77 71 63 35 52 대구 · 경북 57 68 50 78 64 62 43 57 수출기업 51 68 58 77 68 63 66 86 내수기업 60 67 46 78 63 60 31 42 ― 98.1/4분기중 제조업의 매출증가율BSI는 56, 채산성BSI는 42를 기록하여 매출과 수익성이 모두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출기업의 경우 환율상승의 호기에도 불구하고 채산성이 전분기에 이어 100을 크게 하회한 것은 원재료구입가격(189)은 전분기보다 크게 상승한 반면 제품판매가격(91)은 전분기보다 오히려 하락내지 보합수준을 보인 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음 ― 고용BSI는 전국(119)보다 다소 높은 124를 기록하였는데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업, 중소기업(121)보다는 대기업(140), 수출기업(113)보다는 내수기업(129)에서 고용과잉을 느끼는 업체비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98. 1/4분기중 대구·경북지역 항목별BSI(제조업기준) 매 출 생 산 제품 재고 채 산 성 고 용 56 56 125 42 124 (85) (94) (119) (55) (93) 주) 1) 제품재고 및 고용BSI지수는 경기가 부진할수록 수치가 높아지는 역계열 지수임 2) ( )내는 97. 4/4분기중 BSI임 ― 98. 2/4분기중 대구·경북지역 제조업 업황전망BSI는 전국평균 전망치(52)보다 다소 높은 57로 나타났으나 업황전망BSI는 계속 하락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ㅇ 업종별로는 조립금속, 자동차 및 트레일러, 음식료품, 제1차금속 등이 특히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역내 주력업종인 섬유업종은 환율상승에 따른 수출증가의 기대로 업황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나타났음 ㅇ 한편, 수출기업의 경우 업황전망 BSI가 86으로 나타나 전분기 전망지수(70)보다 다소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100을 하회하고 있으며 내수기업의 경우 경기 부진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 98. 1/4분기중 비제조업의 업황BSI는 24를 기록하여 비제조업의 업황도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음 ㅇ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신규수주 감소, 금융비용 및 원자재 가격 상승과 미분양아파트 증가에 따른 자금난 가중 등으로 업황이 매우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소매업도 크게 부진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비제조업 업황BSI 추이 96.3/4 4/4 97.1/4 2/4 3/4 4/4 98.1/4 2/4(e) 전 국 76 66 56 58 57 52 28 41 대구 · 경북 60 63 49 54 48 48 24 34 ― 98. 2/4분기중 비제조업의 업황전망BSI는 전국평균(41)보다 낮은 34로 나타났으며 매출증가율전망BSI(35), 채산성전망BSI(31)도 100을 크게 하회하여 역내 비제조업의 체감경기는 계속 나쁠 것으로 전망 ― 손익분기환율에 대한 조사결과는 달러당 1,200원이상∼1,400원미만(47.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1,400원이상으로 답한 기업은 13.6%에 불과하였으며 수출기업의 경우 1,200원이상∼1,400원미만이라는 응답자가 60.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기업이 감내할 수 있는 최고금리수준에 대한 응답은 연 14%미만(42.2%), 14∼16%(31.4%) 순으로 나타났으며 역내 대기업중 연 20% 이상이라고 응답한 업체도 30.3%로 나타났음 < 참고 > ㅇ BSI : Business Survey Index의 약자로, 조사항목별로 『호전을 예상한 업체구성비(%) - 악화를 예상한 업체구성비(%)+100』으로 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