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생산성의 증가세 둔화 요인 및 시사점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14.11.28
조회수
15750
키워드
R&D투자 자본심화도
담당부서
뉴미디어팀(02-759-4239)

제목 : 우리나라 노동생산성의 증가세 둔화 요인 및 시사점

 

 <요약>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들은 노동공급이 늘어나지 않는 가운데 노동생산성 향상이

지체되면서 성장잠재력 저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최근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경제성장을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관측인자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 둔화는 경기순환적

요인보다는 추세적 요인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는 자본심화도 하락, 서비스업 생산성 저조, 한계기업 누증 및 인구

구조의 변화 등 구조적 요인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설비투자 부진에 따른 자본심화도(1인당 자본량) 하락은 노동생산성 둔화를 가져온

주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위기 이후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늘어난 점도

서비스업의 생산성 향상을 저해한 요인이다.

 

  또한 생산성이 낮은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미흡하여 경제 전체의 생산성 향상을

지연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인구구조 측면에서는 장년층 인구비중이 확대

되는 가운데 청년 및 여성 인력이 저활용되면서 노동생산성 개선을 제약하였다.

 

  앞으로 노동공급 여력이 제한되는 점을 감안하면 노동생산성 제고가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는 데 관건이 될 전망이다.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투자활성화

에 주력하여 자본심화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R&D투자 등을 통해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장년층, 여성 및 청년 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우리경제의 구조적 제약

요인들도 해소해 나가야 하겠다.

  

 <차 례>

 

Ⅰ. 연구 배경

 

Ⅱ. 노동생산성의 추이 및 평가

 

Ⅲ. 노동생산성 증가세 둔화의 요인

 

Ⅳ. 노동생산성 결정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Ⅴ. 평가 및 시사점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