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22-26호] 우리나라의 물가-임금 관계 점검

구분
경제일반
등록일
2022.07.25
조회수
6565
키워드
물가-임금 관계 통계적 분석 상호작용 기대인플레이션 고물가 상황 BOK 이슈노트
등록자
김정성, 임웅지, 오강현, 최열매, 김윤경, 이재진
담당부서
물가동향팀(02-759-4220, 4412)

최근 물가 오름세가 빠르게 확대되고 임금상승률도 높아지면서 물가-임금 간 상호작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물가-임금 관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점검해 보았다.


먼저 공적분 검정 결과 물가와 임금 간에 장기균형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물가와 임금의 움직임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시차상관 및 벡터자기회귀(VAR) 분석 결과, 물가와 임금 간에 시차를 두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근 연도의 물가상승률이 익년도 임금상승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임금상승은 인건비 비중이 높은 개인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시차를 두고 물가에 반영되는 모습이다. 특히 최근 20년에 비해 물가 및 임금상승률이 높았던 1990년대를 대상으로 분석해보면 임금의 물가 영향이 개인서비스물가 뿐 아니라 전체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도 유의하게 추정되었는데, 이는 물가-임금 상호작용이 저인플레이션 국면에 비해 고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최근과 같이 물가 오름세가 높아진 상황에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이 불안해질 경우 물가-임금 간 상호작용이 강화되면서 고물가 상황이 고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선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대응을 통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용한 정보가 되었나요?

담당부서
커뮤니케이션국 디지털미디어기획팀
전화번호
02-759-5393

내가 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