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우리나라의 고용구조와 노동연관효과 추정 및 시사점(계간 국민계정 2007년 제3호)
2006년 우리나라의 고용구조와 노동연관효과 추정 및 시사점(계간 국민계정 2007년 제3호)
- 작성자 : 경제통계국 투입산출팀 박성빈 과장
(머리말)
금년 3월에 발표한 2003년 고용표를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인 취업계수 하락속도 둔화 및 내수부문과 수출부문의 취업유발계수 하락속도 차이 확대 등과 같은 특징적인 현상들이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고용 및 관련 정책 수립에 있어 주목할 만한 현상이라 판단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난 것인지 아니면 구조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추가적인 분석 및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분석대상연도를 2006년으로 한정하여 “산업연관표”, “국민소득통계” 및 “경제활동인구통계” 등을 이용, RAS모형에 의거 산업연관표와 고용표를 추정,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제한적이나마 이러한 현상의 지속여부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고용구조 및 노동연관효과에 있어서의 최근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취업구조 측면에서 최근 들어서도 기존의 서비스화 현상이 비교적 빠르게 진전됨과 아울러 2003년 고용표를 통해 특징적으로 나타난 현상 즉 전반적인 취업계수 하락속도 둔화 및 내수부문과 수출부문의 취업유발계수 하락속도 차이 확대 등과 같은 현상이 2006년에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