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경시대회 관련 FAQ

  1. 경제교육
  2. 새소식
  3. 통화정책 경시대회 관련 FAQ
답변

인터넷 브라우저의 설정에 따라 일부 컴퓨터에서 사진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아래의 해결방법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o 해결방법 :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도구’-‘인터넷옵션' > ‘고급' 탭, ‘URL 경로를 UTF-8로 보내기' 항목의 체크표시 해제

답변

한국은행은 대회에 참가한 학생의 저작물을 보호하는 한편, 학생들이 과거 자료를 모방하지 않고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이전 대회 참가팀의 발표자료 및 동영상을 최소한의 범위에서 공개하고 있습니다. 직전 대회 결선 진출팀의 예심 보고서 일부를 「2023 통화정책 경시대회」 준비 관련 안내자료를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전국결선대회 금상팀의 발표영상을 홈페이지(www.bok.or.kr)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센터 > 공모 수상작 > 통화정책 경시대회」에 게시하였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답변

대회 참가자가 아닌 학생, 학부모, 일반인도 통화정책 경시대회(지역예선대회 및 전국결선대회 모두 해당)를 참관하실 수 있습니다. 참관을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대회당일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인 신분증)을 지참하시어 대회가 열리는 한국은행 본부 및 지역본부로 오시면 됩니다.

 

다만, 각 참가팀을 지도해 주신 교수님의 경우 참관은 허용되지만 대회장 내에서 참가팀과의 접촉은 금지됩니다.

답변

심사위원은 아래의 심사기준에 따라 각 참가팀의 통화정책・경제현상에 대한 이해도, 주요 경제이슈 및 정책과제 도출의 적정성, 통화정책결정의 합리성, 발표력, 질의응답 및 토론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입상팀을 결정합니다.

경시대회 심사기준

평가항목

평가 요소

이슈분석 보고서

 ■ 이슈 선정, 분석방법, 시사점 등

기준
금리
결정

발     표

   발표자료의 내용, 발표기법 등

질의응답

   응답의 정확성, 논리성 등



※ 자세한 사항은 「2023 통화정책 경시대회」 준비 안내자료 참조

답변

질의응답 시 개별적으로 준비한 서면 참고자료(예: 요약노트, 메모)를 활용하여 답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부정행위 우려가 있어 전자기기(개인용 컴퓨터, 태블릿PC 등)를 사용한 검색은 불가합니다. 

답변

대회별 발표 및 질의응답에 배정된 시간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대회별 발표 및 질의응답 배정시간

예선대회

결선대회

발표

질의응답

발표

질의응답

15분

15분

15분

20분


답변

예선 및 결선 대회에 앞서 대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예비소집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예비소집에서 참가자들은 대회진행 전반에 대한 주요내용주의사항 등에 대한 안내를 받게 됩니다. 또한 자료 확인, 발표순서 추첨 등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팀장 혹은 팀원 1인대표로 참석해도 무방합니다. 예비소집에 대한 정확한 일정 및 세부사항은 참가자들에게 개별 이메일로 전달될 예정입니다. 

답변

제출된 예심 자료(이슈 분석 보고서)는 예심심의회의 서면평가(전국단위)를 거쳐 우수한 성적을 받은 팀 순으로 지역예선대회 진출이 결정됩니다. 단, 동일한 학교(캠퍼스 기준) 소속의 다수 팀이 참가 신청한 경우 2개팀 이하(예심성적순)지역예선대회진출할 수 있습니다. 지역예선대회는 최소 6개팀, 최대 20개팀이 참가하며 12개팀 이상이 참가하는 지역의 경우 두 그룹으로 나누어 대회진행됩니다. 

답변

각 지역 예선대회는 2023년 7월 19일(수) ~ 20일(목) 중 개최될 예정입니다. 정확한 개최일자는 예심 심사결과 발표 후에 공지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각 팀의 발표일정 등 세부사항)은 예선대회 개최가 확정된 지역본부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답변

지역예선대회는 서울, 부산, 대구경북, 광주전남, 대전세종충남, 경기 6개 지역에 소재한 한국은행 본부 및 지역본부에서 개최됩니다. 만일 특정 지역의 예선 진출팀 수가 6개 미만일 경우 동 지역에 대해서는 다음 기준에  따라 인근지역과 통합하여 개최하되, 통합개최에 따라 참가팀 수가 12개 이상으로 늘어날 경우 최종 개최 지역은 추후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지역예선대회 통합개최 기준

예선 개최 본부

개최 기준 미달시

서울(본부)

경기본부

경기본부

서울(본부)

대전세종충남본부

광주전남본부

광주전남본부

대전세종충남본부

부산본부

대구경북본부

대구경북본부

부산본부


콘텐츠 만족도


담당부서 및 연락처 : 커뮤니케이션국 커뮤니케이션기획팀 | 02-759-4784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