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면서 우리나라는 정치적?경제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되는데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폐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당시에 유통되었던 7가지 액면의 은행권중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이 앞면 주도안 소재였던 고액권 3개 권종의 도안을 시대상황 변화에 부응하여 변경하기로 결정하였다. 먼저 최고액권이었던 1,000 券은 1960년 8월에, 500 券은 1961년에 도안 초상을 세종대왕으로 교체하였다. 이후 남은 1개 권종인 100환권은 5.16 군사정변으로 교체일정이 다소 지연되어 1962년 5월에야 교체되었다. 그런데 이 100 환권과 관련하여 몇가지 흥미로운 일화가 있다. 무엇보다 1950년 한국은행이 창립된 이후 발행한 여러 가지 은행권중 유일하게 비유명 인사를 도안의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는 점이다. 즉, 당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면서 부족한 산업자본을 국민의 저축으로 조달하여야 한다는 절박한 사정으로 인해 국민들이 매일 접하고 사용하는 돈에 저금통장을 들고 있는 모자(母子)를 도안의 소재로 등장시킨 것이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모자가 책 크기 정도의 저금통장을 흡족하게 바라보는 모습의 100환권을 두고 시중에서는 이 모자상의 실제 모델이 당시 집권자(박정희 대통령)의 부인과 아들이며 대통령에 대한 과잉충성심에서 이와 같은 은행권을 만들었다는 소문이 나돌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시 도안의 모델이 된 모자는 한국조폐공사에서 근무하였던 권모씨와 아들인 것으로 밝혀진 바 있으며 2002년초 모 일간지가 실제 주인공을 찾아 보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화를 가진 100환권은 불행히도 발행된지 불과 20여일만에 발표된 긴급통화조치로 인해 일반 국민의 손을 떠나게 되었으며, 동 화폐는 한국은행 창립 이후 가장 단명한 화폐로 기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현재 동 100환권은 화폐수집가들에게 인기가 높고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한편, 한국은행은 1975년에 퇴계 이황을 도안 소재로 하여 1,000원권을 발행하였다. 동 은행권은 1983년도에 은행권과 주화의 도안을 체계적으로 정비할 때 여타 은행권 및 주화와 함께 도안이 일부 수정된 이후 위조방지장치가 추가되어 조금씩 모습을 바꾼 5,000원권과 10,000원권과는 달리 현재까지 21년째 변함없는 모습으로 최장수 은행권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발권정책팀 과장 김태형 , 2004. 10. 13일 [한국일보]“화폐속세상”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