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실물경제동향
□ 2025년 8월중 경남지역 제조업 생산은 감소 전환하였으며, 수요 측면에서는 수출이 전년동기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하락폭이 확대되고 소비도 부진을 지속
ㅇ[제조업 생산]금속가공제품, 기타운송장비 등이 감소 전환하고 1차 금속 등의 부진이 지속되며 감소 전환(25.7월+0.9%→8월-6.9%)
ㅇ[소비]대형소매점 판매는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하락폭 확대(-3.8%→-10.2%)
ㅇ[투자]기계류수입은 기저효과 등으로 하락 전환(+45.2%→-29.2%)하였으며, 건축착공면적은 주거용과 비주거용이 모두 줄면서 감소폭 확대(-10.1%→-45.9%)
ㅇ[수출]전년동월 선박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전자·전기제품 및 철강·금속 부진 등으로 하락폭 확대(-11.4%→-16.5%)
□ (고용)8월중 취업자수는 증가폭이 확대(+3.5만명→+5.2만명)되었으며, 실업률은 전월대비 하락(2.0%→1.5%)
□ (물가)8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서비스 물가 오름세 약화 등으로 전월보다 하락(+2.2%→+1.9%)
□ (부동산가격)8월중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전월보다 감소(3,065건→2,343건)하였으며,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하락(-0.1%), 전세가격은 보합(+0.0%)
Ⅱ. 금융동향
□ 2025년 8월중 경남지역 금융기관 여신은 1,417억원 증가
ㅇ차주별로 보면, 기업대출의 경우 대기업대출(-70억원)은 줄었으나 중소기업대출(+3,439억원)이 늘어 3,369억원 증가하였으며, 가계대출의 경우 기타가계대출(-489억원)은 줄었으나 주택담보대출(+608억원)이 늘어 119억원 증가
ㅇ업권별로 보면, 예금은행(+601억원)은 기업대출(+2,565억원)과 가계대출(+163억원)이 모두 증가, 비은행금융기관(+815억원)의 경우 가계대출(-44억원)은 감소하였으나 기업대출(+804억원)이 증가
□ 8월중 경남지역 금융기관 수신은 예금은행(+1조 7,088억원)과 비은행금융기관(+3,268억원)이 모두 늘어 2조 357억원 증가
□ 9월중 경남지역 어음부도율(전자결제 조정전, 금액기준)은 0.47%*로 전월(0.08%)대비 상승
* P-CBO 기초자산 채권의 만기 차환 과정에서 만기일이 차환일과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기업의 자금사정 변화와 무관한 기술적 부도가 상당부분을 차지
ㅇ부도금액은 109억원으로 전월(25억원)보다 증가
ㅇ산업별 어음부도금액(순수개인 제외)은 주로 제조업에서 발생
□ 9월말 한국은행 경남본부의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금 잔액은 1조 6,128억원으로 전월대비 98억원 감소
ㅇ중소기업 한시 특별지원자금* 지원액은 9,834억원으로 배정한도를 모두 소진
* 경남지역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 완화 및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해 24.4월부터 운용 중이며, 25.2월 경기부진 대응을 위해 운용한도를 증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