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 배경)중국경제의 빠른 회복은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ㅇ 특히 우리나라는 대중국 수출 비중이 높아 중국의 수입수요 확대 여부가 국내 경기 향방에 중요한 역할
⟹ 최근 중국 수입의 특징적 현상을 살펴보고 향후 장단기 수입 여건을 점검해 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회복 여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
◆(최근 동향 및 특징)
ㅇ (최근 동향) 지난해 중국 수입은 전년대비 1.1% 감소하는 등 성장보다 더딘 회복세를 보이며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품목별로는 석유제품 수입이 급감*하고 국가별로는 EU 및 OPEC 국가 등으로부터 수입이 하락
* 원유 수입량이 7.2%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유가하락으로 원유 수입액이 26.2% 감소한데 기인
ㅇ (주요 특징적 현상) 수입-수출간 연계가 약화된 가운데 첨단소재부품과 고급소비재 수입이 증가했으며 아세안 국가가 최대 수입국으로 부상
◆ (단기 및 중장기 여건 점검)
ㅇ(단기 여건)
① (내수중심 빠른 회복세) 중국경제는 민간·제조업 투자, 소비 등 내수를 중심으로 견실한 회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수출도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증가세 지속
② (반도체 등 첨단소재부품에 수요 확대) 신인프라 투자 확대, 디지털 경제 전환 가속 등으로 첨단산업 부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 확대
③ (생산시설 탈중국 현상 지연)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중간재를 가공하여 최종재를 수출하는 중국내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 현상이 지연
ㅇ(중장기 여건)
① (민간소비 중심의 성장) 쌍순환 정책 추진이 강화되면서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 중심의 질적성장 구조로 전환이 가속
② (첨단소재부품 자급조달 강화 노력) 미국의 규제, 정부주도 투자의 비효율성 등 제약 요인에도 불구하고 고위기술 중간재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 강화
③ (글로벌 공급망(GVC) 전방참여도 상승) 첨단소재 자립 노력 강화, 아세안 등을 중심으로 한 생산지 다변화 경향으로 중국의 GVC 전방참여도가 후방참여도 대비 상승하는 추세가 지속
◆(종합평가 및 시사점)금년에는 제조업투자 및 민간소비 확대 등 내수 중심의 경기회복세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신인프라 확충에 따른 첨단소재부품에 대한 수요 증대로 수입수요가 큰 폭 늘어날 전망
ㅇ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은 화장품 등 뷰티관련 고급 소비재, 반도체 등 첨단 부품소재를 중심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
□ 중장기적으로 내수중심 성장구조의 정착 및 GVC상 중국의 전방참여도가 높아지면서 고급 소비재 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중간재 자급공급망이 확대되는 등 대중국 수출여건이 변화될 가능성
ㅇ 중국 수입소비재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첨단부품소재에 대한 기술우위를 유지할 필요